대공황과 아돌프 히틀러의 집권과정

1. 개요

역사가였던 에릭 홉스봄은 이렇게 말했다. “대공황이 없었더라면 절대로 히틀러는 집권할 수 없었을 것이고 프랭클린 루즈벨트 대통령도 미국 대통령이 될 수 없었을 것이다”. 대공황이 발생하지 않았더라면 히틀러는 정치 지도자로 활동할 수 는 있었겠지만 총통이 되어서 제2차 세계 대전을 일으킬만한 위치에 가지는 못했을 것이다. 그 정도로 대공황은 세계를 흔들어 놓았고 자본주의의 존재 자체를 위협할 정도로 심각했다. 그 이전에 있었던 경제 불황들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대공황은 세계 각 나라의 경제를 뒤흔들었고 엄청난 상처를 가져다 주었다.

2. 대공황과 아돌프 히틀러의 등장

1) 대공황과 독일

독일은 주로 수출에 의존하는 경제 형태를 지니고 있었다. 그러나 1929년 10월 발발한 대공황은 독일의 수출국들로 하여금 보호 무역주의로 돌아서게 하여 관세장벽을 높이도록 만들었고 결과적으로 독일의 수출을 어렵게 만들었다. 그리고 1930년 9월 총선에서 나치당이 약진하게 되자 독일의 정치 불안을 우려한 외국 투자자들이 독일을 빠져나갔다. 이로 인해 독일을 영국이나 프랑스 등에 비해 공황으로 인한 경제적 타격이 훨씬 클 수 밖에 없는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 대공황 전 1928년 실업률이 7%였지만 1930년에는 16%, 1932년에는 31%로 악화되었다. 600만 명의 실업자를 배출한 세계 최고의 실업률이었다. 산업 생산량은 반토막 났고 주가는 무려 60%급락했다.

2) 수권법과 총통 부임

선거의 과반을 얻지는 못했지만 총리에 등극한 히틀러는 의회를 무력화하고자 시도했다. 나치당을 만들 때부터 히틀러는 의회의 필요성을 부인했고 프리드리히 대황이나 비스마르크 같은 걸출한 지도자만이 독일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나치는 히틀러를 그러한 위대한 지도자의 자격을 갖춘 인물로 부각시키고 히틀러가 독일을 재건할 수 있다고 선전했다. 기회를 엿보던 히틀러는 국회의사당에서 발생한 방화사건을 빌미로 ‘국가와 민족을 보호하기 위한 긴급명령’을 제정하고 공산주의자와 사회주의자를 제거하고자 했다.

그리고 뒤이은 총선에서 44%의 지지를 얻은 히틀러는 마침내 수권법을 통과 시켰다. 이 법은 총리가 의회의 동의와 상관없이 법을 제정할 수 있는 권한을 허용하는 것이었다. 의회를 무력화시키고 1인 독재를 꿈꾸었던 히틀러의 독재통치의 목표가 이 법으로 인해 가능해 진 것이다. 그리고 연이어 창당 금지법이 통과 됨으로써 독일은 나치당의 일당 독재국가로 변모했다. 그리고 ‘직업 공무원 재건법’을 통해 나치에 반대하는 공무원과 특히 유대인 공무원들을 숙청했다.

그리고 마침내 1934년 힌덴부르그 대통령이 사망하자 히틀러는 총통이 되었다. 대통령직과 총리직을 통합한 것이 총통이었다. 군통수권을 비롯한 모든 국가권력을 히틀러가 독점하게 된 것이다.

3) 민족공동체의 방해물이 되어버린 유대인

1935년에는 ‘뉘른베르크 인종법’이 공포되어 유대인의 독일 국적이 박탈되었다. 독일 아리아인을 최상의 인종으로, 유대인을 최하의 인종으로 지정해 인종 간의 우열을 법으로 명문화했다. 유대인은 독일 시민이 아니기 때문에 정치적 권리를 박탈 당했고 아무런 법적 보호조치도 받지 못하게 되었다. 그리고 독일인과의 결혼도 금지되었다. 나치는 순수해야 할 독일 민족이 유태인과 같은 ‘병균’에 오염되었다고 간주했다. 그래서 이 병균을 제거해야 민족 공동체가 건강해 지고 국가도 발전해서 과거의 영광을 회복할 수 있다고 믿었다.

3. 아우토반과 경제회복

1) 히틀러의 도로로 선전된 아우토반

히틀러는 아우토반 건설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히틀러는 일자리와 빵을 약속했다. 그래서 건설 산업과 자동차 산업이 가장 빠르게 경제 회복에 기여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시멘트와 트럭 등의 건설재에 대한 수요와 엄청난 노동 수요, 그리고 건설된 고속도로 위를 달릴 수 있는 자동차를 위한 자동차 산업은 경제 회복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았다. 나치는 아우토반을 ‘아돌프 히틀러의 도로’로 부르고 나치의 업적을 치켜세웠다. 원래 바이마르 공화국에서 추진했던 고속도로 건설을 나치 집권 후에 확대하면서 자신의 업적으로 포장했다.

2) 전시경제

나치는 적극적인 재정지출 정책을 통해 적자재정을 감수하면서 실업자를 줄이는 정책으로 공황을 극복했다. 대공황으로 인해 외부의 자본이 유입되지 못했기 때문에 민간의 자본을 최대한 동원했다. 나치는 노조를 철저하게 파괴했기 때문에 노동자의 임금은 엄격히 통제되었다. 그리고 기업 활동도 정부의 허락하에 진행될 수 있었기 때문에 나치에 호응하는 기업들만 혜택을 입었다. 그리고 ‘버터보다 대포를 좋아한다’는 당시의 경제 장관 헤링의 언급처럼 민간을 희생하더라도 군비 증강에 우선순위를 두는 경제정책을 밀고 나갔다. 전쟁에 대비한 경제 체제였기 때문에 1934년부터는 국가가 무역을 독점했다.

3. 나치의 외교정책

1) 라인란트의 회복

1936년 히틀러는 베르사이유조약에 의해 빼았겼던 라인란트를 회복했다. 이 지역은 독일과 프랑스가 군사적으로 대치하던 전략적 요충지였으며 베르사이유 조약으로 프랑스가 15년간 점령할 권리를 확보했지만 외무장관 슈트레제만의 노력으로 1930년 프랑스군은 철수한 상태였고 비무장지대로 남아 있던 지역이었다. 독일군이 라인란트에 진군함으로써 베르사이유조약을 침해했지만 영국과 프랑스는 외교적 항의 이외에 별다른 조치를 하지 못했다. 그리고 나서 히틀러는 무솔리니와 베를린-로마 추축동맹, 일본과는 반 코민테른 조약을 체결했다.

2) 오스트리아.체코 병합

라인란트 진군의 성공으로 자신감을 얻은 히틀러는 좀 더 대담한 결정을 내렸다. ‘민족자결원칙’을 내세우며 독일어를 사용하는 다른 나라로 눈을 돌려 첫 번째 대상으로 오스트리아을 점찍었다. 오스트리아는 제1차 세계 대전 후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붕괴로 인해 힘없는 작은 나라가 되었으며 독일어를 쓰는 사람들을 중심으로 독일과의 합병을 원했다. 마침 1938년 오스트리아의 나치당이 정권을 잡았고 히틀러에게 합병을 요구했다. 히틀러는 무혈 입성으로 손쉽게 오스트리아를 합병했다.

체코슬로바키아의 주데텐란트에는 350만 정도의 독일인이 거주했고 체코 중앙 정부와 자치권 문제로 충돌이 발생했다. 이에 히틀러는 자국민 보호의 명분으로 무력개입을 하게 된다. 영국과 프랑스의 중재로 뮌헨 회담을 통해 주데텐란트를 독일이 흡수하고 나머지 영토는 체코가 보전하는데 합의했다. 그러나 히틀러는 이 약속을 어기고 그 이듬해 결국 약소국 체코슬로바키아를 강제로 합병했다. 이로 인해 뮌헨 협정은 흔히 ‘뮌헨의 배신’으로 불린다.

Leave a Comment